반응형 [개발] Programming197 자바 엑셀 파일 읽을 때 오류 - java.lang.NoSuchFieldError,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등등 자바 NoSuchFieldError 자바에서 엑셀을 읽을 수 있는 XSSFWorkbook 객체를 사용하다 보면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되는데, 이때 라이브러리 버전이 안 맞으면 수많은 class not found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제가 직면했던 오류와 지금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버전을 공유하겠습니다. 연관 오류 종류 java.lang.NoSuchFieldError: RAW_XML_FILE_HEADER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org/apache/xmlbeans/XmlObject java.lang.NoSuchMethodError: org.apache.xmlbeans.XmlOptions.put(Ljava/lang/Object;)V java.lang.NoClassDefFo.. 2021. 6. 10. 맥북 이클립스 실행시 Alert Failed to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최근에 맥북으로 이클립스를 실행시키는데, 아래와 같이 Alert이 발생하면서 'Failed to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문구가 떴습니다. 문구만 봐도 대략 자바 경로를 인식 못하는구나 싶었습니다ㅎㅎ 처음에 개발환경 설정할 때는 따로 안 잡아줘도 잘 동작했는데, 이클립스 버전 때문인지 다시 잡아줘야 했습니다. 이제부터 자바 버전을 조회하고 경로를 잡아주는 방법을 공유해 보겠습니다. 맥북에서 설치된 자바 경로를 조회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usr/libexec/java_home -V 해당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시켜주면 아래와 같은 볼 수 있죠. 터미널로 찾은 자바 설치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Library/Internet Plug-Ins/JavaAppletP.. 2021. 6. 6. dbeaver 오라클 디비 연결 오류 - Error resolving dependencies Maven artifact.. mysql, maria, 오라클, 몽고 등등 수많은 디비를 비교적 쉽게 접속할 수 있는 디비버 클라이언트, 그런데 가끔 접속 오류가 발생해서 짜증 나게 할 때가 있다.. 이유는 바로 디비 드라이버를 찾지 못하고 다운로드도 못하기 때문. 그래서 오늘은 해결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필자가 오라클 디비 접속(Test Connection)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maven:/com.oracle.database.xml:xmlparserv2:RELEASE' not found Maven artifact 'maven:/com.oracle.database.xml:xmlparserv2:RELEASE' not found 또는Error resolving dependencies Maven artifact '.. 2021. 5. 25. 이클립스 실행 오류 A Java Runtime Environment(JRE) or Java.. 새로 개발 환경을 구성하면 자바를 설치 파일로 설치를 해도 환경 변수를 잡아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죠. 기존에 자바 환경 변수를 잡았어도 오류가 발생했다면 한 번 확인해 보는 게 좋겠죠? 이클립스 오류 팝업 문구 A Java Runtime Environment(JRE) or Java Development Kit(JDK) must be available in order to run Eclipse. No Java virtual machine was found after searching the following locations : 아 그리고 환경 변수에 문제가 없다면, 이클립스 폴더에 'eclipse.ini' 파일에 자바 경로를 점검해봐도 됩니다. 그럼 자바 환경변수가 안 잡.. 2021. 5. 20. GET vs POST 방식의 차이점과 장단점 웹 개발을 하다 보면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HTTP Method인 GET, POST를 접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보면 GET은 데이터를 요청할 때, POST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고 보면 되는데, 웹 개발을 하다 보면 이 두 호출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정확히 이해를 해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오늘은 두 호출 방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01 GET 방식 GET은 데이터를 호출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며, URL에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전송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보내는 길이는 한계가 있고 (약 2K가 안전) 헤더에 담아서 보내진다. 캐싱 기능이 있기 때문에 보안에 민감하지 않은 파라미터로 빠르게 조회해 오는데 유용한 방식이다. (URL만 알면 언제든지 호출할 수 있다.) 요청 .. 2021. 5. 16. 윈도우 서버에 SVN 레파지토리(저장소) 추가하는 방법 윈도우 SVN 레파지토리 생성 맨날 리눅스에서만 하다가 윈도우 서버에서 SVN 레파지토리를 만들려고 하니 생소하다ㅋ 그래서 까먹지 않기 위해 글로 남겨봤다. (방법은 매우 간단함.) 신규 레파지토리를 만드는 방법은, 우선 윈도우 서버나 컴퓨터에 Visual SVN Server Manager를 실행시킨다. - VisualSVN Server Manager - SVN에 신규 레파지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Repositories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Create New Repository'를 선택한다. 그다음 신규 레파지토리 설정 단계들이 나오는데 그냥 전부 default로 진행하면 된다. 레파지토리 이름 설정해 주고, 다시 진행. 권한을 설정하는 부분인데, 레파지토리를 생성한 뒤에도 쉽게 수정할 .. 2021. 5. 8.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