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 Programming197

깃허브 기초2 - 깃허브 저장소 생성하기 (gitbash 이용) 깃허브 공부를 위한 두 번째 포스트. 저번에 깃허브 글로벌 변수를 설정한 뒤 이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 차례, 원하는 위치에서 새로 my_project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새로운 디렉터리 생성) $ mkdir ./my_project (만든 디렉터리로 이동) $ cd ./my_project 다행히 리눅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져서 쉽게 사용할 수가 있다. 리눅스 경험이 없으신 분들은 먼저 명령어부터 익히는 게 좋을 것 같다. cd로 새로 만든 디렉터리로 이동한 뒤에, git 초기화를 한 번 실행한다. 초기화를 진행하면 깃 사용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이 생성된다. $ git init 그리고 아래와 같이 기존에는 안보이던 (master)라는 게 추가됐다. master 브랜치를 생성했다는 의미이다. 조회해보면 gi.. 2021. 7. 1.
깃허브 기초1 - 기본 환경 설정 : 이름, 이메일 등록, 디렉토리 생성 (gitbash) 깃허브 온라인 강의를 들으면서 CLI를 통해 설정 해본적은 없어서 기록해봤습니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깃허브를 공부하실분들은 따라해 보세요. Git Bash 실행 우선 이름, 이메일부터 설정. 참고로 global은 글로벌 변수로 등록한다는 의미.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할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주소" 기본 에디터는 VIM으로 설정 (리눅스에 익숙하면 바로 사용 가능)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글로벌로 설정한 깃 정보 확인 $ git config --global --list 조회 결과 user.name=사용한 이름 user.email=이메일 주소 core.editor=vim.. 2021. 6. 29.
무료 메모장(텍스트 편집) 툴 노트패드++(NotePad) 추천드립니다. 개발자로 근무하면서 반드시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가 있어 많은 분들께 추천하고 싶어 소개 글을 준비했습니다. 가볍고 많은 기능을 가진 무료 텍스트 편집기를 찾고 계신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겁니다ㅎㅎ 특히 광고도 없고 모든 기능이 무료이기 때문이죠. 진짜 이거 개발해서 배포하신 분은 정말 복 받으실 겁니다! 그럼 설치 방법과 간단한 기능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1. 노트패드++ 설치하기 설치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아래 링크 접속해서 자신의 운영 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설치하면 됩니다. https://notepad-plus-plus.org/downloads/v7.9.5/ 처음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노트패드에 대한 버전과 소개글이 나옵니다. 2. 노트패드++ 기능, 장점 소개 노트패드의 가장 마음에 드.. 2021. 6. 24.
윈도우 메모 프로그램 ShockSticker 저장한 메모가 안보인 경우 2가지 해결 방법 무료인 데다 가벼워서 6년 이상 애용 중인 ShockSticker, 가끔 메모가 사라져서 당황한 경험이 있을 수 있는데요. 경험상 2가지 해결 방법이 있었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 외에는 모르겠으니 해결 안 되시면 지식인을 이용하시길..ㅋ 1. 메모가 숨겨진 경우 이때는 간단하게 ctrl alt s 를 동시에 누르면 보인다. 반대로 숨기는 건 ctrl alt h, 즉 s는 show, h는 hide. 2.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위 명령어로도 보이지 않는데, 윈도우 트레이(실행 프로그램 목록)에는 멀쩡히 떠 있다면? 이럴 경우에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해주면 된다. 방법은, 먼저 기존에 실행 중이던 프로그램 종료 ShockSticker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해서, 마우스 우 클릭 후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선.. 2021. 6. 20.
서버 연결 오류 - Failed to receive data on the TCP socket, read beginning of SSL/TLS record 회사 내부 서버에서 외부 서버와 다이렉트로 socket 통신을 맺는데, 연결이 맺어지지 않는다?.. 상대 회사는 방화벽에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계속 회신 오는데, 문구를 아무리 봐도 이거는 방화벽 또는 서버에 설치된 인증서 문제 같았다. Failed to receive data on the TCP socket Failed to read beginning of SSL/TLS record 결국 상대 회사의 서버단 로그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LB도 사용했기 때문에 LB 로그도 함께 확인은 요청했다. 확인 결과 LB 방화벽에서 차단된 것! 정리하자면, '우리 서버 -> LB'로 방화벽을 열어야 하는데, 상대 회사는 LB를 생각 못한 건지 이에 대한 가이드가 없어서 연결이 안 되었던 것. 방화벽 추가 오픈.. 2021. 6. 18.
윈도우 서버에 MP4 파일 호출 시 404 오류 해결 방법 (MIME 등록) 윈도우 서버에 업로드한 MP4을 서버 외부에서 호출하면 파일을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하는 404 오류가 떨어질 때가 있습니다. 파일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인데요, 이때는 IIS 서버에 MP4 타입을 추가시켜주면 해결 됩니다. 우선 서버에서 IIS 관리자를 실행시켜 줍니다. 여기서 서비스가 등록된 대상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MIME 형식'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정 팝업 창이 뜨는데요, 여기서 현재 등록되어 있는 (인식 가능한) 확장자들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추가를 눌러주면, 새로운 확장자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저는 MP4를 등록시켜줄 예정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검색해 봤습니다. > .mp4, video/mp4 이제 해당 정보를 MIME 형식에 추가로 입력해 줍니다. 혹시 .. 2021. 6. 12.
728x90